원터치로 엔진을 켜고 끌 수 있는 스타트 버튼, 주행 중에 누르면 과연 시동이 꺼질까요? 정답은 반은 맞고 반은 틀렸습니다. 1 -2회의 터치로는 시동이 꺼지지 않으며 특정 행동을 해야 시동이 꺼집니다.
시동이 안꺼지지만 시동이 꺼집니다.
운전을 하다보면 문득 이런 궁금증과 불안함이 있었을 겁니다. '이 엔진 스타트 스톱 버튼을 혹시 운전 중에 실수로 눌러버려서 시동이 꺼지면 어떡하지?' 다행인 것은 당연히 자동차 제조사에서도 이런 1차원적인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 방지책을 준비해두었습니다. 주행 중 한 두 번의 터치로는 시동이 꺼지지 않으며 보통 3회 이상 연속으로 누르거나 3초 이상 길게 누르는 제스처가 있을 때 시동이 꺼지게 됩니다. 하지만 장난으로 실험 삼아한다면 절대적으로 반대합니다. 시동이 꺼지게 되면 주행 중이라 할지라도 핸들락(핸들이 움직여지지 않는 상황)이 걸리며 모든 기능이 상실되는 상태이기에 만약 도로에서 달리다가 이런 실험을 하게 된다면 큰 사고로 이어질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정말 위급한 상황으로 자동차를 멈추어야 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하지 않으셔야 합니다.
강제 종료 후 시동이 안 걸려요ㅠㅠ
주행 중 엔진 스타트 버튼을 눌러 시동을 껐다면 멈춘 후 다시 걸리지 않습니다. 현재 변속기가 드라이브(D)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죠. 시동이 걸려있지 않은 상태로 변속레버를 드라이브에 두었다면 시동이 걸리지 않는 것은 당연하고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는 변속레버를 바꿀 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혹시 위처럼 주행 중 버튼을 눌러 시동을 정지했다면 변속레버 옆에 있는 작은 시프트 락(shift lock) 키를 누른 상태로 변속을 해야 합니다. 뾰족한 열쇠 혹은 송곳과 비슷한 모양의 물건으로 누르며 변속을 하면 다시 파킹(P)으로 옮길 수 있습니다.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전면허 1종 2종 차이, 자동차 면허 종류와 취득 가능 나이를 한 눈 (0) | 2022.01.09 |
---|---|
하이패스 카드 추천! 연회비 없는 신한 후불 하이패스(체크) (1) | 2022.01.07 |
ECM 룸미러 기능과 필요성, 자동차 옵션에서 필요할까? (0) | 2021.12.25 |
눈 오는 날 주차, 쉽고 간단하게 유리창 보호하는 법 (0) | 2021.12.22 |
착한운전 마일리지 제도와 신청방법, 이거 모르면 몇 년 손해보는겁니다 (0) | 2021.12.20 |
댓글